Unfinished state of infinite variation
Moonjung Lee (PhD.Visual Art Studies, Abjunct Professor at Jung Ang University, South Korea)
Yoonhee Kim’s work is tranquil. Carefully arranged alphabets and numbers on white paper, braille and music notes, lightly transformed cubical structure and achromatic color objects. They hold viewer’s gaze in a quiet and low resonance. A piece of poetry is restored by artist’s hands and invites viewers to a silent moment of inquiry. The slight oscillation creates strange tension in stillness.
Like many other conceptual artists, Yoonhee Kim focuses on semiotic and philosophical subjects. She starts with compound of language,poetry, to research about rules and agreements in life and the condition that makes it possible. The poetry chosen by artist transforms from alphabets into numbers, from numbers into dots and than they position on coordinates. Once the dots are on coordinates, line connects between dots and that alters into geometrical shapes. After all these subtle process of thinking, the geometrical forms transform back to language again and the former process repeats endlessly.
Her main mediums -language-text, number and musical note- are operated and created from certain rules and agreements with human’s arbitrary decision in certain society. This conventional, social rules are strictly bound without any doubts. As far as this strict system maintains, the reliance of possible performance of individual has more validities. However,on the contrary to one’s expectation, when these signifiers apply in reality it actually alters into very subjective and specific one, even to unpredictable diversities. Also it is not possible for individuals or society to express meanings they want to deliver perfectly even if the signifiers follow the rules they decided their own. Because there is always incongruity between language and meaning. In the end, perhaps it is only possible to communicate in general level rather than to deliver perfect meaning through the rules.
When the notion of signifier comes into context of art, the incongruity amplifies. Communication is sometimes dismantled even with the most basic agreements in general which have been used through logical coherence. Although interaction is one of important things in this time, art -fine art, music,literature- is still personal and subjective. It is illogical and irregular.
In Yoonhee Kim’s work, this truth is revealed as it is. She explores the notion of meaning and use in semiotic, communication, translation and the relativity of rules and systems in broader way. Her main method is to show the variation within the system. The way of her working, to across the orders repeatably - from language to numbers, from numbers to shapes - is in fact disordered. It is even random to connect dots on coordinates. The process of visualization of general signs by mathematic calculation may seem to be very rational, but rather opposite of that. It is extremely personal,subjective and illogical. It is unsystematic and unstable as she herself is not even able to explain it clearly enough. And that also found in another work of her which inspired from circle canon and use décalcomanie technique.
Ultimately Yoonhee Kim’s work presents ironical state, which is regular and irregular, predictable and unpredictable at the same time. The rule she made is changing and acting. In this aspect, Yoonhee Kim’s work has resemblance to ‘poetic language‘ which represents uncertainty and diversity. As Julia Kristeva insists, that is an attempt to metaphysical and formal resistance for including social regulations that are constantly changing and evolving.
Now she approaches to the truth by expending her work to 3 dimensional coordinates. Inspiring from Trisha Brown’s ‘Locus’(1975), the open cubical structure extends with documental process of variation. Yoonhee Kim’s artistic practice has no end.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it is opened result. Her final goal is to maintain the incompletion. In her work, there has been always a invisible words,“To Be Continued”. It implies infinite possibilities that allow for endless changing.
무한 변주(變奏)되는 미완성의 세계
이문정(조형예술학 박사, 중앙대학교 겸임교수)
김윤희의 작품은 잔잔하다. 하얀 종이 위에 조심스럽게 나열된 알파벳(alphabet)과 숫자들, 점자와 음표들, 섬세하게 변형된 입방체 구조물과 무채색의 오브제들은 조용하고 나지막한 울림으로 우리의 시선을 붙잡는다. 작가의 손에 의해 좌표로 환원된 한 편의 시는 고요한 탐구의 시간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고요 속에서 퍼지는 미세한 심리적 진동은 묘한 긴장감을 불러일으킨다.
많은 개념 미술가들이 그렇듯 김윤희는 기호적이고 철학적인 주제에 심혈을 기울인다. 작가는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규칙과 약속, 그리고 그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조건에 대한 탐구를 위해 언어의 결합물인 시에서부터 작업을 시작한다. 작가에게 선택된 시는 문자에서 숫자로, 숫자에서 점으로 변환되고 좌표 위에 그려진다. 좌표에 여러 개의 점이 찍히면, 점과 점 사이는 선으로 이어지며 연결된 선들은 이내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변조(變造)된다. 예민한 사고(思考)의 과정이 모두 끝났다고 안도하는 순간, 기하학적 형상은 다시 언어로 전환되며 이 전(全) 과정은 무한 반복된다.
그녀의 주요 매체인 언어-문자-, 숫자, 음표 등은 모두 특정한 사회 집단이 선택하고 약정(約定)한 계약, 즉 인간이 인위적으로 정해놓은 규칙에 의해 운영되고 창조된다. 이 관습적이며 사회적인 규약들은 어떤 의심도 받지 않고 엄격히 지켜진다. 엄격함을 유지할수록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믿음도 유효하다. 그러나 우리의 생각과 달리 이 기호들이 실제로 사용될 때에는 지극히 주관적이고 특수한 것으로 변조되며 예측이 어려운 정도로 다양성을 띠게 된다. 또한 기호들이 정해진 약속을 따른다고 하여 그것의 사용만으로 개인 혹은 사회가 원하는 의미들을 완벽하게 표현하고 전달할 수도 있는 것도 아니다. 언어와 그것이 표현하는 의미 사이에는 언제나 차이의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결국 정해진 약속들을 통해 생각이 완벽히 전달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사람들 사이에는 평균치 정도의 의사소통만 가능하다는 표현이 가장 정확할 것이다.
기호들이 예술의 영역에 들어오면 이러한 간극은 더욱 커진다. 심지어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며 보편적으로 통용되던 -최소한의-모든 약속들이 해체되고 소통이 불가능해지기도 한다. 상호 작용이 예술의 중요한 속성으로 인정받는 시대라 해도 여전히 -미술, 음악, 문학에 이르는-예술은 개인적이고 주관적이다. 비논리적이며 변칙적이다.
김윤희의 작업에는 이러한 진실이 그대로 드러난다. 작가는 좁게는 기호의 의미와 사용, 소통, 번역의 문제, 넓게는 세계를 움직이는 규칙과 질서의 상대성을 드러내기 위해 노력한다. 그리고 이를 위한 대표적 방법이 규칙 속에 존재하는 변법(變法)의 상태를 제시하는 것이다. 사실 언어에서 숫자로, 숫자에서 도형으로 반복되는, 질서의 간극을 넘나드는 작가의 방식은 무질서하다. 좌표 위의 점과 점을 연결하는 행위까지도 즉흥적이다. 사회적 약정인 기호들을 수학적으로 계산하여 시각화하는 과정은 매우 합리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오히려 그 반대이다. 지극히 개인적이고 주관적이며 비논리적이다. 심지어 규칙을 만든 작가 본인이 그 규칙을 명백히 설명하지 못할 정도로 불규칙적이고 비고정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데칼코마니(décalcomanie)의 방법을 이용하거나 무한 카논(circle canon)에서 영감을 받은 작가의 다른 작업에서도 공통적으로 찾아진다.
궁극적으로 김윤희의 작업은 규칙과 변칙, 예측과 비(非)예측이 공존하는 모순적 상황을 제시한다. 작가가 만드는 기준은 역동하며 변화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김윤희의 작업들은 기호가 갖는 한정성을 벗어나 그 안에 불확정성과 다의성을 드러내는 ‘시적 언어(poetic language)’와 같다. 그것은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가 강조하듯 언제나 현재 진행형으로 변화하고 진화하는 사회의 규약들을 포함하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자 그것들이 경직성에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한 형식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저항의 시도이다.
이제 작가는 3차원적 좌표로 작업을 확장시킴으로써 진실의 세계에 더욱 가까워지고자 한다. 트리샤 브라운(Trisha Brown)의 <궤적 Locus>(1975)에 영감을 받아 시작된, 열려진 입방체 형태에 무한 변주 과정을 기록하는 일련의 작업들은 무한대로 확장된다. 김윤희의 작업은 끝이 없다. 그렇다고 하여 작가의 작업이 열린 결말이라는 것은 아니다. 그녀의 최종 목표는 역동하는 미완성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녀의 작품에는 언제나 “다음에 계속(To Be Continued)”이라는 보이지 않는 글귀가 따라 붙는다. 그것은 무한 변주를 가능케 하는 무한 가능성의 함유이다. (끝.)